ELK Stack을 이용한 알티베이스 성능모니터링 ELK Stack은 로그를 분석하여 시각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의 모음이다. 각 글자는 Elastic Search, Log Stash, Kibana라는 3개의 프로그램을 뜻한다. 나는 우분투16.04LTS CUI 환경에서 진행한다.알티베이스 설치우선 알티베이스를 설치해야한다. http://support.altibase.com/kr/product 여기에 들어가면 다운로드할 수 있다. 우리는 Server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해야한다. 나는 altibase-server-7.1.0.1.2-LINUX-X86-64bit-release.run (updated : 2018-02-28) 를 다운로드 했다. 또한 알티베이스에는 라이센스가 필요한데 http://support.altibase.com 가입한 다음.. Programming/Etc 6년 전
카카오톡 친구 추가 한번에 하기 많은 휴대폰 번호를 가지고 카카오톡 방을 만들 때하나하나 저장해서 새로고침 눌러서 할 수 있지만그건 쉽지 않기 때문에 쉬운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먼저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. 엑셀로 열어보면 이런식으로 되어있습니다.이름과 휴대폰 번호사이에 꽤 많은 간격이 있습니다. 아마 대부분 많은 연락처라면 엑셀에 들어있을 테니 그대로 넣어서 저장합니다. Given Name과 Phone 1 - Value 만 채우면 됩니다.번호의 형식은 010-0000-0000으로 해도 되고만약에 그냥 숫자로 받으면 1012345678이런식으로 맨앞0이 사라지는데 상관 없습니다.또한 중간에 공백줄이 있어도 상관 없습니다. 그 다음 구글 주소록 구버전에 들어가서 카카오톡이 설치된 휴대폰에 저장된 구글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.htt.. Programming/Etc 7년 전
우분투 18.04lts, kali 리눅스 한글입력 설정 fcitx 입력기 이용터미널에서 sudo apt-get install fcitx-hangul 로 입력기 설치 후 im-config 에서 입력기를 fcitx 로 선택 (im-config -n fcitx) reboot 로 재부팅 터미널에서 fcitx-config-gtk3 혹은 트레이에서 키보드 우클릭의 configure로 들어가서 +버튼으로 Hangul이라는 Input Method 추가 Global config탭의 Trigger Input Method 오른쪽에 Ctrl+Space를 누른 뒤 한/영키를 누름 ibus 입력기 이용아마 기본적으로 ibus 입력기로 되어있을 것이다. 터미널에서 sudo apt-get install ibus-hangul 로 설치한 뒤에 reboot 터미널에서 ibus-setup 을 .. Security/Kali 7년 전
윈도우 텐서플로우 환경 구축 윈도우에서 WSL을 이용하여 텐서플로우의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이다. 따라서 리눅스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아나콘다는 쓰지 않는다. 먼저http://evols-atirev.tistory.com/16를 보고 주피터 노트북을 깔아둔다. Virtualenv를 wsl안에서 작동시켜서 이용할 것이다. sudo apt-get install python-dev python-virtualenv 로 virtualenv를 깔아준다. 그 다음은 tensorflow를 이용할 폴더를 지정해야한다. virtualenv --system-site-packages directory경로 를 써서 환경을 구축한다. 난 이렇게 했다. 그 다음에 source 방금그경로/bin/activate 을 쳐준다. 이렇게 나오면 텐서플로우 모드로 실행 .. Programming/Tensorflow 7년 전
윈도우 WSL 주피터 노트북 설치 윈도우의 WSL 리눅스 환경에서 주피터 노트북, 파이썬를 설치할 것이다. WSL 우분투 설치wsl이 이미 깔려 있으면 이 부분은 넘기면 된다. 리눅스의 bash를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리눅스를 설치해야한다. ㅗ 시작을 누르고 store라고 치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들어갈 수 있다. 거기에서 ubuntu라고 검색하면 이걸 볼 수 있는데 이걸 누르고 설치를 해준다. 다른 리눅스로 해도 아마 될 것 같다. 나는 우부툰를 많이 써봐서 이걸로 했다. 그 다음에는 선택적 기능 관리를 눌러준다.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 체크하고 확인를 눌러준다. 끝나면 재부팅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. 재부팅한다. 설치한 우분투를 실행해준다. 시작메뉴에 있을 것이다. 여기서 만약 실행했는데도 계속 오류가 나고 Wi.. Programming/Tensorflow 7년 전